즐겨찾기 추가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 찾기
  • 블로그
  • 페이스북
  • 프린트
건강 POST
건강 POST
제목 정부 "'전화진료·처방'에 병·의원 절반 이상 참여"

페이스북 프린트 링크

등록일 2020-02-28 10:11

조회수 1525



코로나19 전파 방지를 위해 한시적으로 실시 중인 전화상담·처방 및 대리처방 제도에 병·의원 절반 이상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정부는 국민이 보다 안전하게 의료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전화상담·처방과 대리처방을 허용하고 있다"며 "현재 대학병원, 동네 의원의 경우 과반이 참여하거나 참여 예정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 기준 상급종합병원 42개 중 21개(50%), 종합병원·병원 169개 중 94개(56%), 의원급 707개 중 508개(72%)가 전화상담·처방 및 대리처방 제도를 시행하고 있거나 시행할 예정이다.

전화상담·처방과 대리처방 제도는 감염병 유행 시 의료기관 내 의료인 보호 및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시적으로 시행되며 코로나19 전파 양상에 따라 종료된다.

이에 따라 의사가 안전하다고 인정할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전화 상담 또는 처방을 받을 수 있다. 약 처방전은 팩스나 이메일 등을 통해 환자가 지정한 약국으로 전송된다. 약 수령 방법은 환자와 약사가 협의해 결정할 수 있다. 재진 환자가 동일 질환에 대해 반복해 동일 처방을 받는 경우에는 가족 등이 대리로 처방받을 수 있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가진 만성질환자들이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해 의료기관 방문을 꺼리고 필요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할 우려를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라며 "가벼운 감기 환자 등도 전화 상담을 통해 선별진료소에 방문 여부 등을 상담받을 수 있어 의료기관도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진료를 하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희망 의료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병원협회, 의사협회 등 의료계와 긴밀히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관련 POST

탈장
탈장수술